반응형

영화 레지던트이블은 명작입니다. 혹시 아직 안 보셨다면 꼭 보셔야합니다.

 

레지던트이블 시리즈 중 1편이 단연 최고입니다. 이 영화의 후기 시리즈들 때문에 아마도 킬링타임용으로 소개가 많이 되고있는 듯 한데, 이 1편은 도저히 그 곳에 끼워맞출 순 없겠습니다. 한정된 공간에서 일어나는 일임에도 불구하고 짜임새있고, 공포영화스러우면서도, 시원하게 때려부수는, 고구마에 사이다 혹은 동치미국물 먹는 상쾌함이 있는 영화입니다. 

 

영화는 주인공인 앨리스가 눈을 뜨는 장면이 풀스크린으로 잡히면서 시작합니다. 그리고 앨리스는 자신에게 무슨 일이 있었는지 모릅니다. 그리고는 아무것도 모르는 상태에서 점차 사건에 휘말려듭니다. 빨간 드레스를 입은 채로요.

 

앞서 말한 모든것은 레지던트이블 시리즈의 특징적인 장면입니다. 레지던트이블은 앨리스의 눈을 자주 보여주고, 처음 시작할때에는 빨간 드레스를 입고있으며, 기억이 상실된 상태입니다. 이 것을 조금 알고 본다면 앞으로 3편까지는 재미있고 의미있어보이는 장면들을 포착하며 볼 수 있습니다.

 

 

밑에부터는 스포가 있으니까 영화를 보실분들은 읽지 마세요.

 

 

 

이 영화에는 미셸 로드리게즈가 나오는데요, 아주 매력적으로 나옵니다. 이 이후에 이 배우 개인적으로 좀 아쉬운 일이 있었는데, 바로 로스트라는 드라마를 찍다가 깽판을 친 것입니다. 촬영지에서 음주운전을 한 후 경찰에 걸렸는데, 반성하는 언행 보다는 '다른 배우도 같이 음주를 했는데 왜 나만 걸리냐'라는 식의 하소연을 하는 기사가 나는 바람에 로스트에서도 하차하고 조금 힘들었지요. 그 점이 생각나서 조금 아쉬웠습니다. 아무튼 이 영화에서는 아주 의리있고 멋진 대원으로 나옵니다. 아마 영화를 보고나서 팬이 될 수도 있을겁니다.

 

밀라 요보비치는 말 할 필요없이 아름답습니다. 밀라 요보비치가 예쁘다는 걸 단 한 번도 느낀 적 없었는데, 이 영화를 보고나면 느끼실 거예요. 

 

레지던트이블은 호러영화이기도 하고, 스토리가 있고, 플롯도 있는 명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게임스토리 베이스인 영화가 이렇게 짜임새있게 영화화 되기엔 힘든 일 이었을텐데 아주 성공적으로 만들어냈습니다. 아마 다른 영화중엔 이런 영화가 없을겁니다.

 

아무튼, 모든 출연배우가 거의 죽는다고 보면 되는데요, 죽는 방법이 너무 간단합니다. 좀비에 의해 조금 물려서 아파하며 탈출하다가 종국에는 좀비가 되어 동료를 위협하는 바람에 결국 슬퍼하는 동료에 의해 죽게됩니다. 그 점만 뺀다면 앞서 말했듯 이 영화는 명작입니다. 꼭 한번 보세요. 추천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결론: 5점 만점에 3점 주고 싶습니다.


볼 영화가 없다면 한번 보세요. 재미는 있는데 강추하고싶은 영화는 아닙니다. 

그저 킬링타임용이라고 생각하면 좋습니다. 그런데 또 킬링타임용이라기엔 지루한 부분이 나와서.. 저는 솔직히 보다가 잠들었습니다.


저는 히어로무비를 참 좋아해서 개봉하면 무조건 보고 주변에 꼭 보라고 추천하는 편인데, 이번 블랙팬서는 주변에 추천하지는 못했어요. 왜냐하면, 위에도 써놨지만, 잠을 잤기 때문입니다.



**** 스 포 주 의 ****


예고편에서 나온 여성으로 이루어진 호위무사들의 칼같은 액션이 많이 나올 것이라고 기대했는데 막상 영화를 보니 그런 편이 아니어서 좀 그랬나봐요. 그래도 절도있는 액션이 많이 나오니 큰 기대하지는 마시고, 그저 작은 대를 하고 보시면 만족스러우실 것입니다.

특히 워킹데드에서 나온 '미숀'이 이 영화에 나와서 액션부분에 대해 더 기대를 하고 봤습니다. 그 분의 액션은 역시..!! 그리고 아름다워요.


액션영화라기 보다는 어떤 상징성이 있는 영화같아요. 하지만 소수의 설움을 알길이 없는 저로서는 "그렇구나.. 인종문제에 있어서 늘 서러웠나보다.." 라고 추측할 수 밖에 없어요.

물론 역사적으로 볼 때 당연히 그럴 것 이지만, 그런데 이렇게 생각하다보면은, 근데 지들은 아시안 겁나 인종차별하면서 우는소리 오지네 싶기도 하고 그랬습니다.


그리고 한편으로 저는, 아이언맨 보는 것 같았어요. 처음에 아무도 토니 스타크가 아이언맨인 걸 몰랐을 때, 주변의 걱정과 반대를 무릅쓰고 본인이 아이언맨 이라는 걸 발표하잖아요, 블랙팬서는 다른 나라들의 비웃음을 똑같이 비웃음으로 되돌려주며 '무엇'을 발표합니다.


중간에 우리나라가 나오는데, 자막 넣는김에 우리나라 말도 같이 자막을 넣었으면 어땠을까.. 하고 영화보는 중간에 생각했습니다. 사실 저는 못알아들었어요. 오바 조금 보태서 외국어를 자막없이 보는 기분이었습니다.


헬스인들이 보면 입을 떡 벌릴 사람들이 나옵니다. 그 아름답고 멋진 몸매! 나도 갖고싶다.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면서, 이 긴 영화를 보는 동안 근손실이 나고있나 안나고있나 라는 생각이 떠오르기도 합니다. 저것들은 영화속에서 저렇게 열심히 운동하는데 나는 여기 앉아서 숨쉬면 근손실이 나겠지...

그러다가 스르륵 잠에 빠져들어서 엔딩크레딧이 올라올 때 잠에서 깼습니다.



영화를 보면서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었습니다. 역사적으로 볼때 백인들은 과거부터 지금까지 잔악무도함으로 여러 문명을 파괴하고, 그 문명에서 얻은 수익으로 자신들의 배를 불려왔습니다. 현재까지도요. 다른 문명(아시안, 중동, 아프리카 등)이 또 다른 문명을 침략할때는 비난이란 비난은 다 하고 지들끼리 편먹고 세계 질서를 유지하는 척 하지만, 막상 지들이 다른 문명을 침략할때는(예를 들어 미국이 다른나라에 개입해서 이득을 많이 먹었던 과거 사례들) 아무 말 안하고 조용히 치고 빠집니다.

영화에서도 이런 부분을 은근슬쩍 언급합니다. "백인들의 무식한 침략에서부터 벗어나기 위해 자신들을 고도의 과학기술로 감추고 일부러 고립시켜서 다른 나라들과 똑같이 가난한 척을 했다."

근데 그러기에는 너무도 많은 자기 가족들(본인과 같은 인종)이 고통에서 살았습니다. 본인들의 문명과 국민들을 지키기 위해서 다른 아픔들을 무시해왔다는게 과연 이해 받을 수 있는 부분인지 잘 모르겠어요. 물론 옳고 그름을 따지자는 건 아닙니다. 액션영화 보면서 옳고 그름을 따지면 우스워지니까요.

근데 사실 이 부분은 영화 속 큰 줄기에 해당합니다.

블랙팬서가 왜 세상에 합류하게 되는지를요. 그 당위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이 장치 저 장치를 이용한 듯하지만 장치들이 서로 개연성이 없는 것 같아서 그렇습니다. 이해가 되신 분들은 댓글로 저를 가르쳐주세요.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