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무게를 가볍게 하는 심리학 - 가토 다이조, 후기
<인생의 무게를 가볍게 하는 심리학> - 가토 다이조 (나무생각)
[인상깊었던 구절 정리]
- 자신감 없는 것을 감추기 위해 허세를 부리거나 주위 사람들을 비난하고 세상의 가치를 부정하기도 한다. 자신감은 누구나 원하지만 얻기 힘들다.
- 고민에 빠졌을 때는 그 고민에서 자신이 무엇을 배워야 할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 '고민은 어제 생긴 게 아니다'
긴 인생동안 무책임하게 살아온 결과가 축적되어 생긴 것이기 때문에 딱히 어제 생긴 고민이라 할 수 없다. 고민은 인생에 낀 불순물 같은 것이다. 성취감이나 자신감을 안겨주지 않는 이유는 그것이 인생의 불순물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민에 빠졌을 때는 그 고민에서 자신이 무엇을 배워야 할지를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 '철부지'란 말은 책임 회피와도 일맥상통한다. 철부지는 부담을 떠맡지 않는다. 철부지는 의무를 회피한다. 그러므로 철부지는 심리적인 안정을 찾을 수 없다.
- 질투하는 하는 사람은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 이득을 보는데서 삶의 버팀목을 찾는게 아니라, 할 수 있는 만큼 최선을 다하는 데서 삶의 버팀목을 찾아내는 것이다.
- 탈진할 때까지 일하는 사람은 주위 사람에게 동정받지 못한다. 프로이덴베르거의 '탈진 증후군(burnout)'에 대한 설명을 보면 등줄기가 오싹해진다. 탈진할 때까지 일하는 사람은 주위 사람에게 실컷 이용만 당하고 누구에게도 존경받지 못한다고 한다. 존경은 커녕 탈진해 쓰러져도 동정조차 받지 못한다.
- 성공한 인생은 인간관계로 결정난다 : 지금 불행한 사람은 주위에 있는 사람들을 관찰해야 한다. 주위 사람의 말을 다 믿어선 안 된다. 왜 그런 말을 했는지 곰곰이 따져봐야 한다.
- 삶의 방식을 바꾸지 않으면 고민도 해결할 수 없다 : 현재 자신을 짓누르는 고민이 사실은 이미 젊은시절부터 자기가 선택한 것이라는 반성이 없다면 앞으로도 절대 행복해질 수 없다. 지금까지의 안이한 삶의 방식을 바꿔야 한다. 고민은 삶의 방식에 따른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 '미움받는 공포증'을 치료하는 것 말고 행복에 이르는 길은 없다.
- 불행의 원인은 외로움과 열등감에 있다. 누군가에게 부탁을 받으면 기분 좋아지는 이유가 뭘까. 그것은 자존감이 부족하기 때문에 남이 뭔가 부탁하면 인정받은 것 같아 기쁜것이다. 자존감이 낮기 때문에 남이 말을 건네주면 기쁘다.
- 당신이 인간관계에 대해 갖고있는 온갖 공포들은 터무니 없고 시시하다. 사람과의 관계에서 일이 벌어지면 당신은 깊게 고민할 필요가 없다.
- 공포심을 관찰로 바꿔라. 두려워 하지 말고 주위 사람을 찬찬히 관찰하라. 여러가지 문제들은 틀림없이 차츰 해결되어 갈 것이다.
[후기]
내가 고민하는 여러 문제들이
사실은 내 자존감과 연결되어있다는 걸 깨닫게 해 준 책이었다.
가끔 인간관계에서 오는 불안감, 공포가 엄습해 올 때
내가 정리한 부분과
책을 다시 한번 보고 마음을 다잡으면 도움이 될 것같다.